[CAN 통신] 데이터 링크 계층와 동작 원리
·
통신 및 네트워크
1.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를 네트워크 전송 방식에 맞게 프레임화해서 각 프레임의 형태 구성과 데이터 전달 과정 오류 검출 등의 사양 명시 2. Frame Format 프레임은 통신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단위이며 일반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틀의 형태로 규정 3. Message ID CAN 통신에서 메시지 구분 및 우선 순위 지정 용도로 사용되며 프레임 내에 설정할 수 있는 하나의 부분에 해당 [Data Frame] 정보를 담고 있는 그릇으로 메시지의 모양 SOF: Arbitration Field: 메시지의 인덱스와 같은 느낌 CRC: 수신 제어기가 데이터를 잘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체크함 ACK: acknowledgement 잘 받았다라고 송신한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정보를 공유함 안..
[CAN 통신] 캔통신의 물리 계층
·
통신 및 네트워크
물리 계층: 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의 구성을 포함하여 비트 전송을 위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수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계층 사양 차동 신호: 두 개의 전송선 위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신호로 두 신호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비트 데이터를 전송 Transceiver: Transmitter과 Receiver의 합성어로 물리 계층 사양에 맞게 신호를 생성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ic - 네트워크의 구성 - 통신선의 길이 - 메인 선에서 제어기까지의 거리 캔 통신은 통신 속도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차량안에서 30~40m의 통신선 필요 차량 안에서 500k/bps의 통신 속도로 최대 130m 통신선을 사용한다. 양 끝단에서 통신된 정보가 반사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종단 저항을 양 끝..
차량용 내부 통신과 외부 통신
·
통신 및 네트워크
1. 내부 통신 종류: 차량 내 전자 제어기 간의 정보 교환 CAN, LIN, Ethernet 등 대부분의 내부 통신의 경우는 유선 통신 CAN, FlexRay: 제어 명령, 진단 통신에 주로 사용 LIN: 차량 내의 센서 정보를 다른 제어기에 전달 Ethernet: 기존의 CAN이나 LIN 보완 멀티미디어, ADAS를 위함임. 진단 통신시에 사용 2. 외부 통신 종류 : 차량 외부 인프라, 디바이스, 진단기, 다른 차량 등과의 연결을 위한 통신 Wi-Fi, 블루투스, 진단 통신, PLC 등 대부분의 외부 통신의 경우는 무선 통신; 차량 간 통신, 인프라와 통신과 같은 커넥티드 카의 경우 LTE나 DSRC 같은게 쓰인다.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EM 알고리즘)
·
AI-Study
불완전한 데이터 또는 숨겨진 변수가 있는 복잡한 확률 모델을 다룰 때 유용하다.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 Expextation (E) 단계 2. Maximization (M)
차량용 통신 및 차량 네트워크 개념
·
통신 및 네트워크
전자 통신: 발신기 (Transmitter), 수신기 (Receiver), 정보 (Message), 매체 (Channel), 방해요소 (Noise)로 구성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해 각 단말 장치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묶여있는 형태 통신 = 정보 전달 차량에는 50~100 여개의 전자 제어 장치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제어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이 필요함. Mesh Topology: 하나의 선이 끊어져도 다른 선으로 통신 가능하다 but, 복잡하다는 단점 존재 Ring Topology: 각각의 제어장치가 일대일 대응된다 Star Topology: 하나의 중앙 장치와 그 외부의 다양한 위성 장치 존재 Tree Topology: 스타 토폴로지를 여러 개 연결 Bus Topology: 통신선 공유로 ..
[GM Technical Center] SDV 직무 인턴 최종합격
·
.0
SDV-SW직무 합격함최종 면접(영어 면접 포함) 굿
.
·
AI-Study/Computer Vision
Trash같은 depth estimation.
[강화학습]
·
AI-Study
강화학습이 보상을 극대화하여 원하는 행동을 하게한다는 점은 많이 들어봤고 잘 아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좀 더 공부해보겠다.
[자율주행] Sensor Calibration- Intrinsic, Extrinsic calibration 설명
·
자율주행자동차/이론
사실 제일 중요한게 각 위치마다 센서가 달리는데 이 때 실제 Global Coordinate를 Camera Coordinate로 Mapping하는 것이다. Mapping할 때 중요한건 변환 Matrix임 그래서 우리가 선형대수학 시간에 배웠던 것 처럼 Rotation, Traslation등을 위해 행렬을 사용함. 센서 퓨전이나 카메라를 이용한 작업에 있어서 좌표계가 무엇보다 중요함. 1. Intrinsic Calibration Camera Sensor의 렌즈 또는 LiDAR와 같은 광학적 장비 내의 Distortion을 해결한다. 2. Extrinsic Calibration 각 센서들의 FoV(Field of View)를 보기 위해 기하학적 관계를 파악해야한다. 서로 다른 좌표계를 지니므로 각 센서별로 ..
[Docker]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가상머신과 다른점
·
sw
본 정리는 Udemy에서 신청한 강의 "Docker & Kubernetes: 실전가이드"를 수강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Docker is a container technology: A tool for creating and managing containers.소프트 웨어에서 Container란 코드 패키지이며 해당 코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종속성과 도구가 포함되어있다.모두가 그 컨테이너를 필요할때 사용할 수 있음.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왜 Docker와 Container인가? 독립적이고 표준화된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원하는 이유공통된 개발환경이 다 포함되어있으므로 코드가 항상 정확한 버전으로 실행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가 아닌 컨테이너에 있기 때문에  쉽게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