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통신: 발신기 (Transmitter), 수신기 (Receiver), 정보 (Message), 매체 (Channel), 방해요소 (Noise)로 구성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해 각 단말 장치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묶여있는 형태
통신 = 정보 전달
차량에는 50~100 여개의 전자 제어 장치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제어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이 필요함.
- Mesh Topology: 하나의 선이 끊어져도 다른 선으로 통신 가능하다 but, 복잡하다는 단점 존재
- Ring Topology: 각각의 제어장치가 일대일 대응된다
- Star Topology: 하나의 중앙 장치와 그 외부의 다양한 위성 장치 존재
- Tree Topology: 스타 토폴로지를 여러 개 연결
- Bus Topology: 통신선 공유로 사용하는 선 감소됨 ->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
네트워크 구조: 통신선을 서로 공유하여 적은 수의 통신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차량용 네트워크에서는 크게 네가지의 네트워크가 필요함: 파워트레인, 바디, 샤시, 인포테인먼트 등..
신호선은 하나의 정보, 1bit만 담기는 반면 제어기가 증가하면 신호선은 증가할 수 있지만 통신선은 기존의 통신선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원가, 중량 절감, 차량 내 효율적 정보 공유 -> 새로운 기능 적용 용이하다
하나의 차량에는 약 30여개(고급차에는 100여개)의 전자 제어 장치(ECU)가 존재한다. 이 때 통신선의 길이만 3km 이상이다. 제어기의 특성 및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함. 5~6개의 통신 프로토콜 존재함, 예를 들면 안전과 민감한 부분, 안전과 민감하지 않은 부분등으로 나눈다.
'통신 및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 통신이란? (0) | 2024.02.29 |
---|---|
[CAN 통신] 데이터 링크 계층와 동작 원리 (0) | 2024.01.04 |
[CAN 통신] 캔통신의 물리 계층 (0) | 2024.01.04 |
차량용 내부 통신과 외부 통신 (1) | 2024.01.03 |
CAN 통신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