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S37 앰배서더입니다.
이번 주제는 전고체 배터리입니다.
아무래도 저는 화학이랑은 썩 친한 편이 아니여서 이번 글을 작성하면서 조금은 친해져보는 계기가 될 수도 있겠군요.
전고체 배터리가 뭘까요? 저도 궁금하군요
위의 뉴스는 오늘 캡쳐한 것입니다. 그만큼 아주 화제가 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혹시 인간에서 제일 중요한 신체 부위가 어딘지 아시나요? 네 맞습니다. 바로 심장입니다.
(죄송합니다 사실 신경계도 매우. 중요합니다.)
전기자동차도 전력의 공급원인 '배터리'가 제일 중요합니다.
(또 죄송합니다. 사실 모터도 매우 중요합니다.)
전지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이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오늘 자세히 볼 부분은 전기자동차와 전해질의 관계에 있습니다.
전해질이란 쉽게 말하면 일회용 배터리의 양극(+)와 음극(-)를 이어주는 매개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된 전지들은 대부분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데요 양극과 음극을 매개하려면 아무래도 고체보다는 액체가 유리하기 때문이죠. 우리가 가루를 삼키는 것보다 물을 삼키는게 더 쉬운걸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근데 그러면 액체를 사용하지,.. 왜 전고체에 난리를 피는거냐고!!
이는 안전성과 용량 문제와 직결됩니다. 배터리 폭발 사고, 핸드폰 폭발 사고 모두 '액체 전해질'에 원인이 있습니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두 전극이 접촉하게 되면 불이나거나 폭발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TMI: 사실 저는 전기전자공학부지만 +단자랑 -단자를 연결할 뻔 했던 적이 있습니다. 무려 1년 전에 )
그래서 고체 전해질이 반드시 필요 것입니다!
< 삼성전자 SDI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마무리 계획
한편 지난 3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 800km, 1,000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결과를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크기는 반으로 줄일 수 있는 원천 기술을 담고 있는 이 연구내용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에 게재되기도 했습니다
< LG 에너지솔루션 >
특히, 500번 이상의 충전과 방전 이후에도 80%이상의 잔존 용량을 유지하고,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도 약 40% 높이는 것이 가능해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적인 진일보를 이뤄냈다는 평가다.
이번 연구결과는 LG에너지솔루션이 오픈 이노베이션 차원에서 매년 개최하는 배터리 이노베이션 콘테스트(Battery Innovation Contest)의 지원 과제가 실제 성과로 이어진 것이라 더욱 의미가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의 시범 운행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렇게나 이슈가 되는 Solid-state Batteries 안만나볼 수가 없겠는데요??
전기자동차를 위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는 다양한 기업들을 만나보는 전시회가 마련되어있습니다.
https://evs37korea.org/main.asp
EVS37
Feburary 15 Submission Deadline for Full Papers April 5 Extended Pre-Registration Deadline April 12 Extended Free Exhibition Registration Deadline
evs37korea.org
위 링크에서 자세한 내용 보실 수 있습니다.!!
무려 9년 만에 돌아온 EVS 37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는 미주, 유럽,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에서 열리는데요. 이번 기회를 놓치면 9년을 더 기다려야한다는 사실..
시간내서 방문할 가치가 분명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취준 > EVS37 Ambassad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VS37 ] SDV를 위한 지향성 (0) | 2024.05.03 |
---|---|
[ EVS37 ] 전기차의 배터리 열폭주 현상은 왜 일어날까?? (0) | 2024.04.21 |
[ EVS37 ] 반드시 일어날 SDV로의 변화!! (0) | 2024.04.18 |
[ EVS37 ] 2024년 코엑스 evs37 일정표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