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선 '파싱'이란 무엇일까? cs적인 부분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주로 문자열이나 파일의 내용을 읽고, 그 구조나 의미를 분석하여 사용자나 프로그램이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가리킨다.
-> 터미널 인자를 읽고, 그 인자들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parser는 argparse.ArgumentParser( )로 생성된 객체의 참조인다. 이 'Parser' 객체는 주로 두 가지 주요 역할을 함.
1. 인자 정의 : add_argument 메서드를 통해서 인자의 이름이나 타입, 기본값, 도움말 메시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2. 인자 파싱: parse_args 메서드로 터미널에서 제공된 인자를 파싱한다.
지금 내가 헷갈리는 점은 train.py 코드에서 main함수 내에 있는 무수한 parser.add_argument 때문에 겁을 먹은 듯한데 알고보면 수정하고 사용자가 이해하기 편하게 friendly하게 작성한 것임! 겁 먹지 마삼
728x90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가상머신과 다른점 (0) | 2023.12.17 |
---|---|
[알고리즘] 퀵 정렬(Quick Sort) (0) | 2023.11.20 |
CUDA 11.6 Pytorch3d Install 설치 방법 (0) | 2023.10.25 |
<코딩테스트> (0) | 2022.11.20 |
[VHDL] Quartus (0) | 2022.05.12 |